자기계발6 [일잘러] 보고서에서 "그룹핑"이 중요한 이유 나름대로 정리를 잘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보고서를 썼다고 생각하고 상사에게 보고서를 보여주면 첫장부터 이해를 못하거나 질문을 연발하는 경우를 접해보셨을 겁니다. 그러면서 "아니 이렇게 쉬운 내용도 이해 못하는게 말이되나??"라고 속으로 생각해보셨던 적도 있으실 겁니다. 물론 이것이 상사의 이해력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보고서 자체가 문제인 경우도 많습니다. 어떻게 하면 좀 더 읽는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보고서를 쓸 수 있을까요? 그 방법 중에 하나가 "그룹핑"입니다. 아래 예를 한 번 볼까요? [예시 1] 우리 회사의 다음분기 성공적인 할인행사를 위해서 이번달부터 준비해야할 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공장에서 제때 물건이 생산돼서 일정에 맞게 배송 되는지 일단위로 점검 2. 핵심 거래처와 아직 프로.. 2023. 8. 8. [일잘러] 보고서 작성 - 피라미드 구조를 유지하자 워드 보고서는 쓰기 전에 보고서의 구조를 잡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보고서의 구조가 어떻게 잡히느냐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지고, 또한 그것이 읽는 사람이 얼마나 쉽게 보고서의 내용을 이해하게 되는지도 결정하게됩니다. 보고서의 구조는 피라미드 구조를 띄는 것이 좋습니다. 보고서가 해결해야하는 하나의 질문에 대한 대답을 명확하게 내리고, 그 대답을 뒷 받침하는 근거 세가지, 그리고 각 근거를 뒷받침하는 세부 근거 3가지 이런식으로 말이죠. 실제 대략적인 구성은 아래와 같이 될 것입니다. 보고서가 답변해야하는 질문: 우리 회사의 고객 수 확대를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할까? 보고서가 전달하는 답변: 우리 회사의 고객 수 증가를 위해서 세가지에 집중해야한다 1) 전략1: 경쟁사의 고객을 빼앗아온다 - XXXXX .. 2023. 7. 19. [일잘러] 문제해결능력을 키우는 방법: As Is - To Be 접근법 회사 생활은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들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 회식장소는 어디로 하지?"에서 부터 "이번분기 매출 확대를 위해서는 어떤 활동들을 해야하는가?" "회사의 중장기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변화를 위해서 뛰어들어야하는 신사업에는 무엇이 있는가?" 등 회사원들은 크고 작은 문제들을 해결해 나아가야 합니다. "문제"라는 것은 우리가 처한 현실과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의 괴리라고 표현 할 수 있고, "문제해결을 한다"는 것은 1. 우리가 처한 현실과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명확하게 하고 2. 현실과 목표의 괴리를 줄일 수 있는 과제를 선정해서 실행하는 것 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올바른 문제 해결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가 처한 현실과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명확하게 .. 2023. 7. 13. [일잘러] 중요한 것은 마인드! "그 옆 부서에 A씨 어때요?" "아주 똘똘하게 일 잘해요!" 회사 생활을 하다보면 일 잘한다고 소문이 나있는 사람들이 종종있습니다. 업무처리가 시원시원하기도 하고 종종 윗사람이 시키지 않을 것까지 착착 해오기도합니다. 보통의 회사원과 이렇게 일 잘한다고 칭찬받는 회사원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물론 엑셀이나 보고서 쓰는 실력이 좋거나 월등하게 똑똑한 경우도 있긴 합니다만, 마인드의 차이가 가장 큰 경우가 많습니다. 그 마인드라는게 정말 정확하게 설명하기 어려운데, 유튜브를 보다보니 정승제 강사님께서 이 개념을 정말 잘 설명해 주신 영상이 있어서 가져와봤습니다. 이 마인드는 업무를 대할 때 나오는 질문부터 다르게 합니다. A: OO씨 지난번 프로모션 결과 분석 좀 해줄래요? B: 네 알겠습니다. C: 네, .. 2023. 7. 1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