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전략

[일잘러] 비즈니스에서 트렌드가 중요한 이유 - 위닝 멘탈리티

by Tonyzy 2023. 7. 16.
반응형

 

 

스포츠 경기 중계를 보다보면 "위닝 멘탈리티"라는 용어를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항상 이긴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있는 팀이나 지고 있는 경기도 결국에는 뒤집어서 내는 팀에게 보통 위닝멘탈리티를 가지고 있는 팀이다 라고 칭합니다. 축구를 예로 들어볼까요. 제가 좋아하는 팀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경우 과거 알렉스퍼거슨 감독이 현역으로 있을 시절 전반전에 지고 있다가도 결국은 이기는 경기들을 많이 보여줬었고, 당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위닝 멘탈리티는 대단하다는 언론의 평가가 많았지요.

 

'We are Manchester United' - The Mentality Behind Sir Alex Ferguson's Years of Dominance

 

하지만 알렉스 퍼거슨 감독이 은퇴를 하고, 당시 전성기를 함께 했던 웨인 루니/라이언 긱스/폴 스콜스 등 이른바 알렉스 퍼거슨 감독의 위닝 멘탈리티를 이해하고 있던 핵심 선수들까지 은퇴하면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약 10년의 암흑기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이후 조세 무리뉴 감독이나 반할 감독 같이 우승이 무엇인지를 아는 감독들이 팀을 맡았던 적도 있었습니다만, 선수단에는 우승을 해본 경험이 있는 선수들이 부족했습니다. 다만 지난시즌부터 아약스를 리그 우승으로 이끌었던 에릭 텐하흐 감독이 새롭게 부임하고, 라파엘 바란/카세미루 같이 레알마드리드에서 우승을 밥먹듯이 했던 월드클래스 선수들이 합류하면서 팀 전체의 위닝 멘탈리티가 강해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그 결과 리그컵을 우승 했구요.  

 

리그컵 우승후 자축하고 있는 카세미루

 

위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사례에서 말씀 드린 것 처럼, 위닝 멘탈리티는 한번 잃어버리면 그것을 다시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지난시즌 리그컵 트로피는 그 직전 마지막 트로피 이후 약 7년 만의 트로피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스포츠 팀들이 이기는 습관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고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 수많은 노력을 합니다. K리그에서도 최근 성적이 좋지않았던 전북현대의 경우 위닝 멘탈리티 회복을 위한 외부 코칭 특강까지 진행했다고 합니다.

 

서론이 길었습니다만, 위닝 멘탈리티는 비즈니스에도 적용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주단위 시장 점유율이 엎치락 뒤치락하는 B2C 인터스트리의 경우 매주매주 점유율을 이겨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혹여 1주를 지더라도 다음주에는 다시 우리가 이길 수 있게, 즉 매주매주 위닝 멘탈리티를 가지고 시장 점유율을 사수 해야만합니다. 만약 2주 연속으로 점유율을 내준다면 그것이 3주가 되고 4주가 될 수 있습니다. 비록 중간에 1~2주를 다시 회복 할 수도 있겠지만 중기로 봤을때는 점유율이 지속 하락하는 트렌드로 돌아설 수도 있습니다. 좀 더 넓은 관점에서 봐도 "전분기 대비 역성장", "전년대비 역성장", "판매량 감소 트렌드" 와 같은 키워드는 그날의 주가를 잡아 내립니다. 비즈니스가 잘못된 트렌드로 가고 있다는 시그널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주는 현상이죠.

 

하락의 트렌드로 들어선 기업 내부에서는 시간이 지나면서 "패배자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어려울 것 같은데 한번 해볼게요. 근데 안될거에요." "어짜피 해도 결과가 안좋을 걸요." 패배자의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하면 내부 직원들은 미래를 보여 문제해결을 하지 않고 과거를 보며 비난을 합니다. 도전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지 않고 실패의 원인을 찾으며 그것을 합리화 합니다. 그리고 상황을 적극적으로 바꾸려 하지 않고 상황을 바라보며 수동적인 자세를 취하게 되지요. 그 후에는 기업이 악순환의 고리에 빠질 것이라는 것은 너무나 당연합니다.

 

스포츠에서 이기는 것이 습관이 되면 자신감이 생기고, 그 자신감을 바탕으로 본인이 하고자하는 플레이를 할 수가 있습니다. "우승도 해본 놈이 한다"는 말이 괜히 나온게 아니겠지요. 비즈니스도 이기는 것이 습관이 되어야 사업이 성장하고 확대될 수 있습니다. 우리 비즈니스 KPI들이 이기는 트렌드를 가리키고 있는지 아니면 지는 트렌드를 가리키는지를 유심히 관찰하면서 하루 하루, 한주 한주의 경쟁에서 계속 이겨나갈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반응형